연중 제4주간 수요일
히브리 12,4-7.11-15
마르코 6,1-6
마르코 복음서는 그 장엄한 시작을 다음과 같이 들려줍니다. “하느님의 아드님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의 시작”(마르 1,1).
마르코 복음사가가 우리에게 들려주는 예수님의 참된 신원은 “하느님의 아드님”입니다.
오늘 복음에는 예수님을 바라보는 각기 다른 시각이 언급됩니다.
“목수로서 마리아의 아들.” 이것은 나자렛 사람들의 시각입니다. 예수님의 말씀을 듣고 놀라기는 하지만, 그들의 이러한 시각은 예수님을 못마땅하게 여기는 태도로 이어집니다.예수님을 바라보는 상반된 두 관점, “하느님의 아드님 예수님”과 “목수로서 마리아의 아들”의 긴장이 오늘 복음에서 날카롭게 대립하고 있습니다. 나자렛 사람들은 예수님을 하느님의 아드님으로 바라볼 수 없었습니다.
그들의 눈에 예수님께서는 그저 마리아의 아들이고 목수였을 뿐입니다.
반면에 예수님의 말씀을 듣고 놀라는 다른 지역 사람들은 예수님의 권위를 인정하고 (마르 1,22 참조), 예수님을 훌륭한 분으로 인정합니다(마르 7,37 참조).예수님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가 하는 시각이 매우 중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그것은 예수님을 위하여 중요한 것이 아니라 예수님을 바라보는 사람들을 위하여 중요합니다.
예수님께서는 당신을 하느님의 아들로 받아들이는 사람들에게 많은 기적을 행하시지만, 반대로 목수로만 바라보는 사람들에게는 많은 기적을 일으키실 수 없었습니다.
우리는 예수님을 어떠한 분으로 바라보고 있나요? 하느님의 아드님? 아니면,나자렛 출신 목수?
그분을 향한 우리의 태도가 우리를 향한 그분의 행위를 결정합니다.
- 인천교구 박 형순 바오로 신부님 묵상 글에서 -
'그룹명 > 사랑과평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복음 묵상(마르코 6,7-13) - 성 바오로 미키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0) | 2025.02.06 |
---|---|
오늘의 복음 묵상( 마르코 5,21-43) (2) | 2025.02.04 |
오늘의 복음 묵상(마르코 5,1-20) (0) | 2025.02.03 |
오늘의 복음 묵상(마르코 4,35-41) (0) | 2025.02.01 |
오늘의 복음 묵상(마르코 4,26-34) - 성 요한 보스코 사제 기념일 (0) | 2025.01.31 |